고치는 데 크게 어려움은 없었던 에러지만, 서버 관련 에러를 스스로 처리한 것이 뿌듯하여 글로 남겨봅니다 :)
문제 소개
평소 잘 작동하던 프로젝트의 로그인 기능을 테스트하던 중, 갑자기 에러 코드 500이 발생했습니다..
배포가 되어있던 프로젝트였기에 빠르게 클라우드 타입의 로그를 확인했습니다.
RedisConnectionException: Unable to connect ~
대충 봐도 뭔가에 연결을 실패한 것 같았고, 곧바로 구글링을 통해 에러를 정확히 파악했습니다.

문제는 어느정도 파악했으나, 평소 서버 쪽 개념이 정말 1도 없었기 때문에 지인에게 자문을 구했습니다.

자문을 구하여 알아본 결과, 프로젝트에서 무료 요금제로 사용 중이던 Redis 서버가 만료 되었던 것이었습니다.
그리하여 새로운 Redis 서버를 띄우기로 했습니다.
새로운 Redis 서버 구축하기
바로 Redis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구축을 시작했습니다.
우선 요금제를 선택하고

부가적인 기본 옵션들을 설정하니




굉장히 간단하고 쉽게 새로운 서버를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새로운 Redis 서버를 구축했다면, 이제 클라우드 타입의 Redis 관련 환경 변수도 바꾸어줄 차례입니다.

모든 설정이 끝났습니다! 마지막으로 변경 사항 적용을 위해 클라우드 타입 프로젝트를 재배포 하면 ...

status code 200과 함께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로그인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치는 데 크게 어려움은 없었던 에러지만, 서버 관련 에러를 스스로 처리한 것이 뿌듯하여 글로 남겨봅니다 :)
문제 소개
평소 잘 작동하던 프로젝트의 로그인 기능을 테스트하던 중, 갑자기 에러 코드 500이 발생했습니다..
배포가 되어있던 프로젝트였기에 빠르게 클라우드 타입의 로그를 확인했습니다.
RedisConnectionException: Unable to connect ~
대충 봐도 뭔가에 연결을 실패한 것 같았고, 곧바로 구글링을 통해 에러를 정확히 파악했습니다.

문제는 어느정도 파악했으나, 평소 서버 쪽 개념이 정말 1도 없었기 때문에 지인에게 자문을 구했습니다.

자문을 구하여 알아본 결과, 프로젝트에서 무료 요금제로 사용 중이던 Redis 서버가 만료 되었던 것이었습니다.
그리하여 새로운 Redis 서버를 띄우기로 했습니다.
새로운 Redis 서버 구축하기
바로 Redis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구축을 시작했습니다.
우선 요금제를 선택하고

부가적인 기본 옵션들을 설정하니




굉장히 간단하고 쉽게 새로운 서버를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새로운 Redis 서버를 구축했다면, 이제 클라우드 타입의 Redis 관련 환경 변수도 바꾸어줄 차례입니다.

모든 설정이 끝났습니다! 마지막으로 변경 사항 적용을 위해 클라우드 타입 프로젝트를 재배포 하면 ...

status code 200과 함께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로그인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