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치는 데 크게 어려움은 없었던 에러지만, 서버 관련 에러를 스스로 처리한 것이 뿌듯하여 글로 남겨봅니다 :)문제 소개평소 잘 작동하던 프로젝트의 로그인 기능을 테스트하던 중, 갑자기 에러 코드 500이 발생했습니다..배포가 되어있던 프로젝트였기에 빠르게 클라우드 타입의 로그를 확인했습니다.RedisConnectionException: Unable to connect ~ 대충 봐도 뭔가에 연결을 실패한 것 같았고, 곧바로 구글링을 통해 에러를 정확히 파악했습니다. 문제는 어느정도 파악했으나, 평소 서버 쪽 개념이 정말 1도 없었기 때문에 지인에게 자문을 구했습니다. 자문을 구하여 알아본 결과, 프로젝트에서 무료 요금제로 사용 중이던 Redis 서버가 만료 되었던 것이었습니다.그리하여 새로운 Redis..
클라우드 타입의 Hobby 요금제클라우드 타입의 Hobby 요금제는 프리티어 1GB 메모리를 제공하고, 누구나 부담없이 서비스를 배포할 수 있게 해줍니다.저 또한 이러한 장점을 얻기 위해서 Hobby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그러나 Hobby 요금제의 프리티어 메모리를 이용하면 임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지만,무료 요금제의 특성상 매일 새벽 한 번씩 임시 리소스로 배포된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중지됩니다.중지 상태가 되면 다시 수동으로 재배포 하기 전까지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해지며,상황에 따라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도 해결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매일 아침 일찍 일어나 수동으로 중지된 서비스를 재배포 하는 것인데요. 하지만 이러한 해결 방법은 굉장히 비효율적이며, 한 번이..
Github를 통해 개발을 하다보면 종종 100MB를 초과하는 용량의 파일을 Github에 업로드 해야할 때가 있습니다.GitHub에서는 파일 1개 당 용량이 50MB을 넘으면 warning, 100MB를 넘으면 error로 판단하기 때문에,용량이 100MB를 초과하는 파일을 그냥 commit 후 push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error가 발생합니다.this exceeds Github's file size limit of 100.00MBGH001: Large files detected. You may want to try Git Large File Storage - https://git-lfs.github.com. 이런 상황에서는 Git LFS를 사용해야합니다.여기서 LFS는 Git Large File ..